Monthly Archives: March 2019

‘주부’라는 이름과 인사하기

*짤막한 글 대신 조금 긴 글을 써보는 모임에 가입했다.
이 카테고리에선 그곳에 쓰는 글들을 모아둘 계획.
이곳에 쌓이는 글 보다 부지런히 블로그에 글을 써야할텐데 말입니다…

왼손잡이인 신랑 덕에 벽 쪽에 붙여둔 2인용 식탁에선 자연스레 서로의 자리가 정해졌다. 신랑은 왼쪽 공간이 트인 자리로, 오른손잡이인 나는 오른쪽이 트인 자리로 마주 보고 앉았다.

결혼하고, 아이가 생겼음에도 여전히 서툰 요리 솜씨 때문에 밥을 먹을 때가 아니어도 식탁이 있는 주방에 머무는 시간은 언제나 예상보다 길었다. 큰 집도 아니기에 몇 걸음 더 걸어서 거실로 나가 소파에 앉으면 되지만 그러다가 종종 물을 끓이거나 프라이팬을 데우던 걸 까맣게 잊어버렸기 때문에 자연스레 식탁 의자에 엉거주춤 걸터앉아 휴대폰을 보거나 책 몇 페이지를 들여다보는 게 습관이 되었다.

그러다보니 식탁 의자의 가죽이 조금씩 닳는 건 당연했다. 매일 조금씩 찢어지던 의자의 끄트머리 가죽 부분은 앉을 때마다 점점 더 거슬렸다.

모처럼 시댁에 갔다 들른 이케아에서 이것저것 구경을 하다 의자 위에 올려 쓰는 방석 매트를 발견하고는 신랑에게 물었다.

“우리 이거 살까요?”

“어디에 쓰려고요?”

“식탁 의자에 얹어서 쓰면 좋을 것 같은데.”

“글쎄. 굳이 필요할 것 같진 않은데….”

갸우뚱거리며 바라보는 신랑의 대답을 들으며 막상 사서 올려놓고 쓰면 불편할까 싶어서 나도 만지작거리다가 내려놓고 돌아왔다. 그리고 며칠 후 주방에서 무심코 내 쪽 식탁 의자에 앉았던 신랑이 깜짝 놀라 물었다.

“어휴, 여기 의자가 다 찢어졌네요?”

“응. 그래서 그때 방석 사려던 거에요.”

“아….몰랐네….”

나도 그때 신랑 쪽 식탁 의자에 앉아서 깨달았다. 신랑의 의자는 내 것만큼 닳지 않았다는 것을. 둘 다 집에서 재택근무를 하지만 신랑은 독립된 방에서 주로 일을 하고 식사 때만 식탁에 앉았으니 의자는 신혼 때 처음 사서 쓰기 시작했을 때와 크게 다르지 않은 상태였다. 반면 나는 신랑이 일하는 방에 결혼 전 쓰던 컴퓨터가 놓인 내 책상과 의자도 있었지만, 아이가 태어난 후부터는 방에 들어가 앉을 틈이 없었고, 조금 지난 후에는 혼자 노는 아이를 지켜보면서 노트북으로 일을 하거나, 때로는 혼자 있을 공간이 필요했다. 그렇게 어느샌가 내 책상은 식탁이었고 ‘내 자리’는 주방의 식탁 의자가 되어있었다.

늦은 나이에 결혼 해서 그런 것인지, 아직도 마음만 젊은 것인지 ‘주부’’ 이라는 호칭이 얼결에 걸쳐본 남의 옷처럼 내내 낯설었었다. 아주 더디게 늘어가고 있는 어설픈 살림 솜씨를 생각하면 ‘주부 9단’이란 내공이 과연 언젠가 내게도 생길까 싶기도 하고, 남들도 다 이러지 않을까 하면서도 또 설마 정말 그럴까 싶고. 분명 나의 하루 일상을 떠올려보면 지극히 평범한 주부 생활임에도 내가 주부라는 사실이 정말로 내게 와닿지는 않았었다.

그런데 바로 그 순간, 새것과 다름없는 신랑의 의자 맞은편에 놓인 내 의자를 나란히 보면서 처음으로 ‘나도 주부였구나!’ 하는 탄성이 나왔다. 그래, 나도 주부였어. 그리고 밀려온 서글픔과 안도감. ‘어느새 이만큼 와버렸네’ 하는 마음과 ‘이곳이어서 다행이다’ 하는 마음에 갑자기 울지도 웃지도 못하는 얼떨떨한 표정으로 서 있었다. 그렇게 나는 ‘주부’라는 이름과 인사하고, 받아들였다. 내내 주부가 되었다는 걸 마음으로 부정하다가 인정해버리게 만든 게 뭐든 척척 만드는 손에 붙은 요리실력이나 숙련된 살림 솜씨도 아니고 낡아 찢어진 식탁 의자였다니 지금 생각하면 조금 어처구니없기도 하지만.

아이가 어린이집을 가게 된 후에도 여전히 매일 부엌 식탁에서 책을 보고, 일하고, 글을 쓴다. 낮에는 한참 책과 노트북을 늘어놓았다가 식사 때가 되면 후다닥 챙겨 다른 곳으로 옮겨놓는 일을 날마다 반복하면서. 소설가 박완서 선생님이 주부 생활을 하며 늦은 나이에 부엌 식탁에서 처음 글을 쓰기 시작했다는 이야기를 들으며 머릿속에 그려졌던 풍경과 지금의 내 모습이 조금은 닮았을까. 그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아이들 학교 가고 나면 아이들 책상에서 글을 써도 됬을텐데 왜 식탁에 앉아 글을 썼을까 하고 의문스러워하던 나는 이제 그 이유를 너무 잘 알 것 같다.

요즘은 종종 신랑과 조금 큰 식탁을 살까 하고 이야기를 나눈다. 4인용, 혹은 6인용 식탁을 사면 지금의 2인용 식탁은 진짜 나만의 책상다운 책상으로 쓰겠다고 결심해보지만, 그때가 되면 또 나는 4인용, 혹은 6인용 식탁의 끄트머리에 앉아있지 않을까?

그때는 조금 더 익숙한 이름으로 능숙하게 주방을 차지하는 주부이길. 주부 9단까지는 아니어도 3단 정도만이라도 되었기를 바라본다.